▲ 박형국 위원장

‘복지 네트워크 활성화’가 해답
올 여름도 무척 더웠다. 지난 7월 폭염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다양한 손길이 모아져 방치 위기에 놓였던 연초면 한내마을 소외가정을 찾아 주거개선 봉사를 1개월쯤 진행했다. 한 학생의 결석이 잦자 교장과 교사의 가정방문이 이뤄지면서다. 열악한 환경이 확인됐고 시민과 행정의 합심이 뒤따랐다. 거제시 주민생활과 - 연초면사무소 - 연초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계룡로타리클럽과 해금강로타리클럽 등 여러 봉사단체의 네트워크가 시너지를 발휘한 것이다.
 지난 2003년 7월 사회복지사업법 개정과 함께 근거를 마련한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주민 주도의 민관협력 복지공동체를 지향하는 게 요체다. 전국적으로도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활성화하고 있고 우수사례들도 많다. 거제 역시 자원봉사가 무척 활발한 지역으로서 열악한 이웃을 돕기 위한 움직임이 꾸준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이웃들은 언제나 우리 주변에서 나타나고 있어 더욱 고삐를 조여야 할 일이기도 하다.

관(官) 주도의 복지를 넘어 주민 주도의 복지 공동체를 만들려면 할 일이 많다. 행정으로선 법 테두리에서 일을 해야만 하는 한계를 지닌다. 기초수급자 지정이 마땅해 보임에도 제도적 한계로 어려운 사정에 처해 있는 홀몸노인의 한숨은 현재진행형이다. 제도 보완은 물론이요, 제도적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선 ‘주민 주도의 네트워크 활성화’가 해답이라는 것이다. 서두에 언급한 봉사의 결실도 그렇게 완성됐다.

어려운 이웃 ‘더욱 보듬을 시기’
현재 거제는 어느 때보다 힘든 시기에 처해 있다. 조선경기 불황이 몇 년 째 지속되면서 인구는 줄어들고 가정해체의 아픔을 겪는 세대가 나타나며 ‘한부모 가정’ 또는 ‘조손 가정’의 처지가 되거나 미래세대인 우리 아이들마저 악영향을 받는 사례들이 들려온다. 평소 평안했던 가정마저 이럴 정도이니 기존의 열악한 환경에 놓인 주민의 삶은 오죽할까 싶다. 현재 거제 실태를 반영한 실질적이고도 장기적인 ‘맞춤형 복지’가 절실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편으로 거제시는 ‘면‧동 복지허브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올해까지 모든 면‧동 주민센터를 ‘행정복지센터’로 명칭을 변경해 ‘복지 허브화’를 실현한다는 정책이다. 복지상담, 복지사각지대 발굴, 통합사례관리 등 찾아가는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연계·제공한다는 게 큰 틀이다. 제도적 한계를 뛰어넘기 위한 첫 걸음이라 할 수 있겠다. 정책 구현을 위해선 ‘맞춤형 복지 전담 공무원’ 증원도 매우 시급하다. 복지직 공무원의 과도한 업무량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특히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민관협력기구로서 복지네트워크의 ‘첨병’이자 ‘가교’ 역할을 해내야 한다. 주민들의 다양한 복지수요에 대응하는 구심점이 되어야만 할 것이다. 주민 주도의 복지 공동체 실현은 주체와 객체가 따로 없다. 뜻 있는 모든 시민이 주체인 것이다. 어려운 이 시기를 우리 이웃들이 버틸 수 있도록 ‘나눔과 희망’의 정서와 움직임이 더욱 확산하길 염원한다.
  

SNS 기사보내기
GIBNEWS
저작권자 © GIB 거제인터넷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